세종학당재단,
2025년 세종한국어평가 시행 안내
>
2024년 세종한국어평가(SKA) 연 3회, 단계적 적응형 세종한국어평가(iSKA) 최초 실시
>
2025년 세종한국어평가(SKA), 단계적 적응형 세종한국어평가(iSKA) 시행기관 확대 예정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직무대리 사무총장 배종민, 이하 재단)은 시행 3년 차를 맞아 안정적인 운영체계를 갖춘 세종한국어평가 (SKA)를 통해 전 세계 세종학당 (예비)학습자들에게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종한국어평가(SKA)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단계적 적응형 세종한국어평가(iSKA)는 기존 방식과 차별화된, 학습자 수준에 최적화된 평가체계로 2024년에 최초 시행됐습니다. 세종학당뿐만 아니라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홍콩대학교 전업진수학원,
리투아니아 빌뉴스대학교 등 유수 대학에서 총 486명이 응시했습니다.
2024년도 세종한국어평가(SKA)는 5월 25일(제5회), 8월 24일(제6회), 10월 26일(제7회) 총 3회 시행됐으며, 총 51개 기관에서 5,489명의 응시자가 참여했습니다. 2024년에는
슬로베니아와 라트비아에서 세종한국어평가(SKA)가 처음 시행되어, 한국어 평가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2025년도 세종한국어평가(SKA)는 지필 시험으로 3회 시행될 예정이며, 회차별 평가일, 접수 기간, 성적 발표일은 아래 ❬표1❭과 같습니다. 재단은 현재 국외 시행기관을 모집 중이며 전년보다 시행
지역을 확대해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재단은 2025년 1월 중 세종한국어평가 누리집(https://ska.ksif.or.kr)을 통해 회차별 시행 지역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2025년 SKA 회차별 평가일, 접수 기간, 성적 발표일 일정
2025년도 단계적 적응형 세종한국어평가(iSKA)는 인터넷 기반 시험(IBT: Internet-Based Test)이자 적응형 시험(MST: Multi-Stage adaptive Test)으로 연
2회 시행될 예정입니다. iSKA는 재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국내외 유수 대학과 더불어 베트남, 미국, 프랑스 등 거점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시행됩니다. 먼저, 업무협약 체결 기관을 대상으로 한 제1회
iSKA 특별 시행은 2025년 4월에 진행될 예정이며, 거점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한 제2회 iSKA는 같은 해 11월 7일에 치러질 예정입니다.
세종학당재단 배종민 사무총장은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열정이 커지고 있는 만큼 더 많은 학습자들에게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위해
세종한국어평가(SKA)와 단계적 적응형 세종한국어평가(iSKA)의 시행 지역을 더욱 확대하고 디지털 기반 평가의 확대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